산세가 아름다운 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때인 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한 사찰로 의신이 서역에서 돌아올 때 흰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 이곳에 머물렀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절’이라는 뜻에서 그 명칭이 붙여졌을 정도로 한국 사찰의 형성과정과 현재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곳이다. 2018년 “산사,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통일신라 진흥왕 14년(553), 의신대사가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속리산의 웅장하고 험준한 산세를 보고 불도를 펴기 위해 큰 절을 세웠다는 법주사. 불경을 가져 온 의신이 머물렀다 해서 그 이름 유래됐다. 울퉁불퉁 우람한 속리산의 화강암 연봉들이 병풍처럼 둘러선 산자락 아래 분지를 이루고, 물 맑고 수량 풍부한 계곡이 절 앞을 흐르니, 대사를 눌러 앉힌 것은 대사의 의지가 아니라 그 터가 아니었을까.
1500년전 의신대사가 창건한 법주사는 사적 제503호로 사찰 자체가 중요문화재이지만, 그에 더해 명승61호로 ‘속리산 법주사 일원’이 지정되어 자연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중요문화유산으로서 인정받은 것을 우리는 안다. “관음봉(983m)부터 속리산 최고봉 천왕봉(1058m)까지 일곱 개의 봉우리가 연봉을 이룬 우람한 산세가 품고 있는 넉넉한 분지. 그곳에 자리 잡은 법주사. 두 명승이 어우러지니 명승 중의 명승이라.”
‘자연이 물려준 속리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바위들, 그리고 법주사 지역에 있는 역사 깊은 문화유산들이 어우러져 펼쳐져, 가치가 뛰어난 명승지‘라는 점이 문화재청이 말하는 ’명승지정의 이유‘다. 좋은 것은 나눠야 하는 법. 문화재청은 법주사를 비롯 7개 전통사찰의 유산적 가치에 주목한 끝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 신청을 했다. 그 결과 잠정목록 등재가 확정되었고, 2018.6.30.(한국시각 7.1.)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되어 세계가 인정한 문화유산으로 가치를 인정 받았다. 이와함께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봉정사, 부석사, 통도사 등 총 7개 산사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한국불교의 전통을 이어오고 수행자의 삶과 문화를 포함한 문화유산으로 높은 평가와 더불어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으로 인정을 받았다.
'한국의 전통 산사(Traditional Buddhist Mountain Temples of Korea)'라는 이름으로 등재된 내용을 보면,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봉정사, 부석사, 통도사 등 이들 산사는 사찰 건축 양식, 공간 배치 등에서 인도 유래 불교의 원형을 유지하고 중국적인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우리나라의 토착성을 보여주는 동아시아 불교문화 교류의 증거임을 문화재청은 밝히고 있다. 관련 내용은 유네스코 누리집(www.unesco.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시 근무하고 있어 자세한 해설을 들을 수 있다.
법주사는 통일신라부터 고려, 조선시대 등 각 시대의 중요 불교문화유산이 전해지는 대찰이다. 법주사 경내로 막상 들어서면, 어디서부터 무엇을 봐야할지 눈이 휘둥그레진다. 국보 3점, 보물 13점 등의 중요 불교문화유산과 많은 수의 충청북도 유형문화재가 있는 곳이 법주사이기 때문이다.
법주사 탐방의 시작은 오리숲의 일주문의 지나고 오리숲의 끝 법주사 어귀에 들어서면서 부터다. 법주사 어귀 법주사를 중창한 벽암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벽암대사비’와 속리산의 내력을 소개하고 있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속리산사실기비‘ 두기의 비석에서 발길을 잠시 멈춘 다음, 수정교 건너 금강문을 지나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6호 사천왕문을 나서면, 법주사에 전래된 현존하는 유일의 목탑이자 우리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은 팔상전에 이르게 된다.
벽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 팔상전을 기점으로 삼아 법주사 경내에 전래되는 불교문화유산을 탐방하는 것이 좋다. 팔상전을 중심으로 동쪽 대웅보전에 이르는 화엄신앙축과 서쪽 용화보전에 이르는 미륵신앙축이 직각을 이뤄 교차하도록 가람배치가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가람배치의 원형을 보기는 어렵다. 초창이후 1500년의 세월을 넘어 오늘에 이르니 그 배치 면에서 화엄신앙축이 변화를 겪었고, 또한 미륵신앙축이 깨졌으니 그렇다. 그나마 화엄신앙축은 본래의 축을 유지하고 있으니 화엄신앙축을 먼저 탐방하는 게 좋을 듯싶다. 동선을 흩트리지 않고 화엄신앙 유산과 미륵신앙유산, 그리고 그 밖의 불교문화유산을 차례로 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화엄신앙축은 국보 제55호 팔상전에서 보물 제915호 대웅보전에 이른다. 이 축을 따라 탐방을 시작하면 국보 제5호 쌍사자석등 뒤로 보물 제15호 사천황석등이, 그 뒤로 보물 제1360호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이 봉안되어있는 대웅보전이 배치되어 금당을 중심으로 한 당탑가람의 배치를 마무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탑과 금당사이 석등이 두 개 있는 이유는 쌍사자석등 뒤로 극락전이 있었으나 1960년 철거되어 그 자리가 비었기 때문이다. 사천왕석등이 불전 앞을 비추고 있는 대웅보전은 구례 화엄사 각황전, 부여 무량사 극락전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불전 중 하나로 웅장한 불전의 극치를 이룬다.
의신대사가 절을 창건한 이후 신라 혜공왕 2년(766)에 진표율사와 그의 제자 영심대사에 의해 중창되면서 법상종 도량이 된 법주사의 미륵신앙축은 팔상전 서쪽으로 보이는 수정봉과 일직선상으로 존재했었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용화보전에 봉안한 장육존상을 고종 3년(1866)에 대원군이 경복궁 역사에 필요한 당백전을 만들기 위하여 파괴한 후 전각도 철거되었기 때문이다.
팔상전에서 수정봉 아래 용화보전이 있던 자리까지의 미륵신앙축에 있던 국보 제64호 석련지와 보물 제1417호 석조희견보살입상 등 두 점이 본래의 자리를 벗어나 법주사 금동미륵대불 주변에 따로 떨어져있다. 석련지는 금동미륵대불 오른쪽에, 석조희견보살입상은 팔상전 대각선방향 서북쪽에 있는 국보 제55호 원통보전 오른쪽 뒤에 위치하고 있다.
용화신앙축과 미륵신앙축을 차례로 돌아본 후 보물 제1413호 법주사 철솥을 찾아볼 일이다. 그 크기만 보아도 대찰 법주사의 사세를 가늠할 수 있다. 다시 석련지를 지나쳐 산자락에 이르면 직사각형 모양의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70호 석조에 이르게 된다. 석조를 보면 철솥을 바로 연상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쓰임새에 두 유물은 연관성을 갖는다.
석조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거대한 바위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마름모꼴의 거대한 바위가 앞으로 넘어질 듯 불안해 보이는 이 바위의 높이는 20m, 마름모꼴의 바위와 맞닿아있는 거대바위 옆으로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지만 높이 6m의 큰 바위에서 돋을새김으로 조각된 보물 제216호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을 친견할 수 있다.
용화보전에 봉안되어있던 장육존상을 대원군이 경복궁 역사에 필요한 당백전을 만들기 위하여 파괴한 후 헐려진 용화보전과 장육존상의 10배에 이르는 거대한 미륵대불 조성이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한국 근대조각의 대가인 김복진이 맏아 시작된 미륵대불 조성은 시멘트조로 진행됐다. 불상을 조성하던 중 80%의 공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625동란으로 중단되었다.
종전 이후 나머지 공정을 진행하여 1964년 5월에 이르러서야 대불의 완성을 보았으나 자연 훼손이 심해 1986년 해체하고, 시멘트조 크기와 모습 그대로 1990년 4월 청동제 미륵대불로 다시 조성하여 완성을 보았다. 청동 116t이 들어간 세계 최대 청동제 미륵불의 탄생이었다. 이후 2000년 개금불사를 일으켜 2년만인 2002년 황금 80kg을 들여 금동미륵대불을 완성했다. 이 불상은 세계 최대의 미륵불 입상으로 높이 33m이며 높이 8m의 기단부 안에는31 용화전이 있다.